바로가기
본문영역 바로가기

본문영역

보건소식

  • 정보광장
  • 보건소 게시판
  • 보건소식

전국 일본뇌염 경보 발령(2025.8.1.)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155
작성일
2025.08.01
첨부파일
첨부파일 다운로드모기퇴치국민행동수칙.jpg
첨부파일
첨부파일 다운로드일본뇌염 개요(0).pdf
첨부파일
첨부파일 다운로드일본뇌염 관련 질의응답Q&A(0).pdf
- 전남에서 채집모기의 50이상이 일본뇌염 매개모기(작은빨간집모기)로 확인됨에 따라 8월1일자로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 발령
- 일본뇌염 예방을 위해 모기물림 예방수칙 준수 및 예방접종 대상자 접종 당부

■ 일본뇌염이란?
○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에 물려 전파되는 질환
○ 일본뇌염에 감염된 모기에 물린 후 5~15일 이후에 증상이 나타남
○ 초기 증상은 무기력증과 발열이며 종종 두통, 복통, 메스꺼움, 구토 등을 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파킨슨 증상과 발작이 생길 수 있음
○ 일본뇌염에 대한 특이적인 치료법이 없어 증상에 따른 대증치료를 함

■ 일본뇌염 주의보 및 경보 발령 기준
○ (주의보) 일본뇌염 매개모기(작은빨간집모기)가 당해 연도 최초 채집 시
○ (경보) 다음 중 한 가지 이상 해당 시
- 주 2회 채집된 모기의 1일 평균 개체 수에서 작은빨간집모기가 500마리 이상이며, 전체 모기 밀도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
- 채집된 모기로부터 일본뇌염 병원체가 분리 또는 유전자가 검출된 경우
- 일본뇌염 환자가 발생했을 경우

■ 모기물림 예방수칙
○ 야외 활동 시
- 모기가 활동하는 4월~10월까지 야간(일몰 직후~일출 직전)에 야외 활동 자제
- 야간 외출 시 밝은 색 긴 옷, 품이 넓은 옷을 착용하고, 노출된 피부나 옷, 신발 상단, 양말 등에 모기 기피제 사용하기
- 모기를 유인할 수 있는 진한 향수나 화장품 사용 자제
- 실내 모기 침입 예방을 위해 방충망 정비 및 모기장 사용 권고
○ 가정 및 주위환경
- 방충망 점검 및 모기장 사용
- 집주변의 물 웅덩이, 막힌 배수로 등은 모기가 서식하지 못하게 고인 물 없애기

■ 예방접종 대상자
○ 생후 12개월 이상의 모든 소아
○ 면역이 없는 18세 이상 성인
- 위험지역(논, 돼지 축사 인근)에 거주하거나 전파시기에 위험지역에서 활동 예정인 경우
- 비유행 지역에서 이주하여 국내에 장기 거주할 외국인
-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노출될 수 있는 실험실 근무자
- 일본뇌염 위험국가* 여행자
* 호주, 방글라데시, 부탄, 브루나이, 미얀마, 캄보디아,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라오스, 말레이시아, 네팔, 북한, 파키스탄,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러시아, 싱가포르, 대한민국, 스리랑카, 대만, 태국, 동티모르, 베트남


출처: 질병관리청 보도자료(2025.8.1.)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10000&bid=0015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