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본문영역 바로가기

본문영역

보건소식

  • 정보광장
  • 보건소 게시판
  • 보건소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매개 참진드기 조심!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156
작성일
2025.04.14
첨부파일
첨부파일 다운로드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수칙 안내문(0).pdf
■ SFTS 매개 참진드기 관련 질의응답(Q&A)
1.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매개 참진드기는 주로 어디서 물리나요?
○ 참진드기는 주로 수풀이 우거진 곳에서 존재하다가 사람이나 동물과 같은 부착 대상이 수풀 속을 지나가면 숙주(사람, 야생쥐, 고라니, 멧돼지 등)에 붙어 흡혈합니다. 멀리 떨어진 곳을 날아가 달라붙거나 하지 않기 때문에 진드기가 사는 곳에 사람들이 들어가게 됨으로써 접촉하게 됩니다.

2. 진드기에 물렸습니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에 무조건 감염되나요?
○ 진드기에 물린다는 것과 중증열성혈소판증후군에 걸린다는 것을 동일시 할 필요는 없습니다. 질병관리청이 실시한 전국 채집지 채집 조사 결과에 따르면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는 진드기는 0.5의 최소 양성률을 보여, 일부 진드기가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3. 진드기에 물린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증상은 없지만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에 감염되었을지 검사해도 될까요?
○ 진드기에 물렸다고 모두 감염되는 것은 아닙니다.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는 검사를 해도 감염여부가 확인되지 않습니다. 진드기에 물린 것을 확인하였을 때에는 진드기 제거법에 따라 진드기를 제거하고, 해당 부위를 소독합니다. 이후 14일 동안 발열, 구토, 설사 등 임상증상이 나타나는지 주의 깊게 관찰합니다. 임상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4.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에 걸리지 않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진드기의 활동이 왕성한 봄부터 가을까지 주의해야 하며, 야산지역의 발목 높이 초지에서 참진드기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는 진드기를 매개로 하는 다른 감염병의 예방에도 유효합니다. 풀숲이나 덤불 등 진드기가 많이 서식하는 장소에 들어갈 경우에는 긴 소매, 긴 바지, 목이 긴 양말을 착용하여 양말 안에 바지단을 넣고, 발을 완전히 덮는 신발을 착용하여 옷 안으로 진드기가 침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야외 활동 후에는 샤워를 하며, 진드기가 붙어있는지 확인하도록 합니다.


■ 진드기매개 감염병 예방수칙
① 풀밭에 오래 머무르지 않기
- 발목 이상 높이의 풀밭에 들어가지 말기
- 풀밭에서는 30분 이상 앉거나 눕지 말기
② 야외활동 시 긴 옷, 목이 긴 양말, 장갑, 모자 등 착용하기
- 진드기 기피제를 신발, 양말, 바지 등에 적절한 주기로 사용하기
③ 야외활동 후 반드시 씻고 진드기 확인하기
- 목욕 또는 샤워하면서 진드기가 붙어있는지 관찰하기
위로 이동